경제뉴스를 보면 어떠한 주식의 PER이 10배, PBR 1.2배, ROE 11.6%로 주가가 저평가로 보인다 등의 내용을 보신 적이 있을 겁니다. PER은 무엇이고 PBR은 무엇이 가에 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PER이란?
워런 버핏이 주식을 살 때는 "기업을 산다 생각하라" 이렇게 말을 했습니다. 주식회사는 기업이고 기업도 어떻게 보면 규모가 큰 가게라고 볼 수가 있습니다. 가게를 인수할 때우리는 이 가게를 얼마에 사서 얼마를 벌 수 있는지를 생각해야 합니다. 당연히 주식 투자할 때도 이 기업이 얼마를 벌어오는 기업인지 그리고 또 얼마에 사야 내가 이 기업을 적당한 가격에 샀는지를 생각해 봐야 합니다.
그래서 이 기업의 매매 가격이 있습니다. 시가총액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시가총액은 주가 곱하기 주식수를 의미합니다. 그리고 여기에 물건을 얼마에 팔고 인건비, 월세, 재료비 빼고 남은 순수한 이익, 순이익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 순이익을 알아야 실제로 여기가 얼마를 남기는 사업인지를 알 수가 있는 겁니다.
즉, 순이익으로 몇 년을 벌어야 시가총액이 나오는지를 나타내는 게 PER (Price Earning Ratio)라고 합니다. 즉, 몇 년 안에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는지가 나오는 것이 PER입니다. PER이 10이다라고 한다면 지금 주식 가격에 사면 10년이 되어야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보통 평균 PER을 9~11 사이로 봅니다. PER이 낮다고 하면 매매가 대비 순수익이 높은 편입니다. 그러니깐 본인이 본전을 회수하는 기간이 굉장히 빠르다고 보고 이것을 저평가라고 말을 합니다. 반대로 PER이 높다라고 하면 매매가 대비 순수익이 낮고 원금을 회수하는 기간이 길어집니다. 그래서 이것을 고평가라고 합니다.
PER을 보기 편하게 퍼센트로 한 번 만들어 보겠습니다. 100에 PER을 나누면 투자수익률(%)이 나옵니다. 예를 들어 PER이 5배라고 가정하고 100/5를 하면 투자수익률이 20%가 나옵니다. 그럼 반대로 PER이 20이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100/20를 하면 투자수익률이 5%가 나오는 겁니다.
주식투자 치고 연 5% 투자수익률이면 그렇게 높은 편이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PER을 보면서 순이익 대비 주가가 고평가인지 저평가인지를 한눈에 알아볼 수가 있습니다. 물론 이익이 매년 크게 바뀌는 기업들이 있습니다. 이런 기업들 같은 경우는 이 PER로 적정 가격이다 아니 다를 알 수가 없습니다.
그럴 경우에는 3년 또는 5년 치 순이익을 다 구해 보는 겁니다. 그래서 이 순이익의 평균은 냅니다. 그러면 이 순이익의 평균을 가지고 시가총액으로 나눠서 평균 PER을 구하는 겁니다. 이런 식으로 보면 대략적으로 이 기업의 5년 정도 PER이 이 정도 되는 거라고 판단하실 수 있습니다.
아니면 경쟁업종이 있습니다. 이 경쟁업종의 PER을 봤을 때, 우리 회사는 PER이 좀 낮은 편이네? 같은 업종 대비 PER이 높은 편이네? 이러시면서 경쟁사 대비 고평가인지 저평가인지를 알아보실 수도 있습니다.
PBR이란?
우리가 가게를 인수할 때 들어가는 비용을 생각해보면 두 가지로 나뉩니다. 가게에 있는 보증금이 있고 권리금이 있습니다. 보증금은 상가주인으로부터 언젠가는 돌려받을 수 있는 돈, 즉 본인의 자산이고 볼 수 있습니다.
권리금 같은 경우는 전에 장사하던 세입자가 "여기가 장사한 이만큼 잘 되는 곳 이니깐, 웃돈을 좀 주세요"라고 하면서 뒤이어 들어오는 세입자에게 받는 돈입니다. 즉, 이 돈 자체는 실체가 있는 돈이 아닙니다. 그래서 우리는 이 돈을 프리미엄이라고 부릅니다.
기업도 마찬가지입니다. 기업의 매매 가격이라고 볼 수 있는 시가총액 같은 경우도 자본이라는 것과 프리미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현재 장사를 잘하고 있는 기업의 지분을 사는 거니깐 당연히 프리미엄을 지불하고 산다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이 프리미엄을 과하게 지불하면 나중에 사업이 망했을 때, 투자한 돈의 대부분을 못 찾을 수도 있는 겁니다. 아파트 같은 경우로 생각하시면 분양가가 2억 인 아파트인데 프리미엄 10억을 주고 사서 12억짜리 아파트를 샀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그러다가 나중에 입주할 때 보니깐 집값이 뚝 떨어졌다면 프리미엄을 다시 회수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지는 겁니다.
기업도 이거랑 마찬가지인 겁니다. 그래서 이런 지표를 만든 게 PBR (Price Book-value Ratio)이라고 합니다. 시가총액이 자본 대비 몇 배 상태인지를 알아보는 지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서 현금, 부동산, 시설, 자동차 등의 모든 자산을 더한 상태에서 모든 빛을 뺍니다. 여기서 시가총액 나누기 자본총계 (자산-모든 빛)를 했을 때 1 보다 높으면 프리미엄이 있는 상태고 반대로 1보다 낮으면 프리미엄이 마이너스인 상태라고 보시면 됩니다.